반응형

미국 주식 투자 7원칙/블로그 챌린지 6

[미국 주식 챌린지 #5] 재테크 사칙연산 돌아보기

챌린지 1에서 작성했던 재테크 사칙연산을 뒤돌아보고 기업을 운영하는 CEO라면 어떤 점에서 개선할만한 사항이 있을지 작성하기 만약에 내가 나라는 기업을 운영하는 CEO라면 첫 번째로 수입 면에서 파이프라인이 없는 것이다. 현재 내 주수입은 교육사업인데, 이것은 시간을 태워 돈을 버는 것이라 내가 아프거나 여행을 가면 그 시간 만큼 수입이 줄어든다. 이는 기업의 측면에서 봤을 때 리스크가 큰 상태이므로, 수입을 다각화하여 다방면에서 창출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을 구축해야 한다. 그 중 하나로 미국 주식에 배당투자를 하여 배당금을 받는 구조이다. 그렇게 한다면 일정한 현금흐름이 발생되어, 배당금을 재투자하여 복리효과를 일으키거나, 내가 일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파이프..

[미국 주식 챌린지 #4] 사실수집 해보기

사실 수집 3단계를 활용해 과제3에서 선정했던 기업에 대해 조사하기 과제3에서 선정했던 네 기업 중에서 '프록터 앤드 갬블(Procter & Gamble)'에 대해서 기업 조사를 해보려고 한다. 1. 객관적 사실/데이터 수집 - 시장 statista.com에서 찾아본 P&G 정보 소비재 시장이기에 consumer goods market cagr로 검색해서 찾은 자료 시장의 대륙 별 특성(Market geographical) 북미와 아시아 시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인다. 필수 소비재는 생활에 꼭 필요한 제품들을 파는 시장이기에 경쟁/대체 시장이 없을 것으로 본다. 시장 내 기업 별 점유율 다양한 시장에서 생활용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점유율 1위를 차지하는 브랜드가 많다. 2. 주관적 사실 수집 - 기업 ..

[미국 주식 챌린지 #3] 투자할 만한 주식 골라보기

실전 노하우 2가지를 기반으로 투자할만한 섹터 1곳과 기업 4곳을 선정하고 그 이유를 작성하기 1. 내 주변에서 시작하기(bottom-up) 내가 사용하고 있는 것->해당 기업의 사업->기업이 속한 섹터->섹터의 핵심기술/정책흐름 2. 시야 넓혀 나가기(Top-down) - 섹터 별 CAGR(연 평균 성장률) 체크 - 섹터 1곳: Consumer Defensive 필수소비재는 경기상황에 영향을 많이 받지 않기 때문에 다른 섹터에 비해 수익률은 좀 낮을 수 있어도, 안정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우리 생활에 밀접하게 자리를 잡고 있기 때문에, 관심을 가지기가 더 쉽고, 변화가 생겨도 쉽게 알아차릴 수 있다. - 기업 4곳 1. WNT: 버블 그래프 상으로 x축과 y축에서 독보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미국 주식 챌린지 #2] 실전 제7 투자원칙 적용해보기

현재 투자중인 기업들을 투자원칙을 기반으로 뒤돌아보고 왜 투자했는지 이유 작성하기 - 미국주식 실전 제7 투자원칙 1. 적어도 내가 은퇴할 때까지는 시장의 규모가 지속해서 커지는 산업에 투자하자 2. 능력 범위를 확실하게 파악하고, 자신의 한계치 밖의 기업에 대해서는 미련을 버리자. 3. 보유 종목 수를 늘려 분산 투자하기보다는 집중 투자를 하자. 4. 5개년 치 재무제표를 통해 기업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보고, 같은 산업군의 상위 기업들과 비교하자. 5, 올바르고 변치 않는 철학을 가진 CEO가 존재하는 기업에 투자하자. 6. 끊임없는 R&D로 독보적인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시장주도권을 이끌어가는 기업에 투자하자. 7. 항상 유연한 사고를 지니며, 매 순간 배운다는 마음으로 겸손하자. 국내 주식에는..

[미국 주식 챌린지 #1] 재테크 사칙연산 해보기(내 돈아, 열심히 일해줘)

돈을 벌면서 항상 마음 구석에 걱정하는 것이 이 돈을 어떻게 일하게 만들까? 였다. 요즘 이것저것 많은 것을 도전해보고 바쁘게 살고 있어서 그런지 제태크를 소홀히 했다. 코로나 시즌 한창 주식이 인기가 많을 무렵, 나는 수익률은 낮더라도 안정적인 올웨어 포트폴리오 전략으로 투자를 해야갰다고 다짐했다. 그래서 환율이 1,050원이었을 때, 환전을 거대해서 채권, 주식, 금, 원자재 등 미국 ETF를 골고루 사서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평소에 관심이 있던 기업도 재미로 1, 2주 정도 사놓고 있었는데, 코로나가 끝나면서 금리가 오르고 주식이 떨어지면서 사지도 않고, 팔지도 않고 그냥 내버려두고 통 관리를 안했다. 통장에 이자없이 그냥 쌓이기만 하는 돈들을 보면서, 이렇게 방치해 두면 안되는데.. 빨리 일하게..

반응형